요즘 안 쓰는 물건들을 정리하고 있습니다. 좁은 집에 언제 마지막으로 썼는지도 모를 짐들이 쌓여 있다 보니, 치워도 치운 것 같지 않고, 보고 있으니 어수선한 것이 괜히 스트레스가 되더라고요. 그러다 우연히 굿윌스토어를 알게 되어 안 입는 옷, 가방, 소형 가전까지 한 번에 기부하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굿윌스토어를 통해 안 쓰는 물건 기부하고, 연말정산 세액 공제 혜택도 받을 수 있는 과정을 간단히 정리해보려 합니다.
1. 굿윌스토어 소개

따라서, 버리는 물건이나 쓰임을 다한 물건이 아닌, '재판매'가 가능한 물건을 기부하셔야 합니다. 기부 가능 품목은 ― 헌 옷, 책, 소형 가전제품, 완구, 문구 등; 다양하며 자세한 내용은 굿윌스토어 홈페이지의 기증 가능 품목을 확인해주세요.
![]() |
굿윌스토어 기증 가능 품목 |
기부된 물건엔 상태에 따라 판매 금액이 책정되며, 기부자에게는 세액 공제가 가능한 기부금 영수증이 발급 되는 시스템 입니다. 직접적인 금액이 돌아오는 게 아닙니다.
2. 굿윌스토어 기부 후기
2.1 기부한 물품 종류
- 안 입는 옷 ― 겨울 코트, 선물 받은 패딩 등 유행이 지났거나 사이즈가 맞지 않는 의류
- 등산화(한번도 신지 않은 새 것), 핸드백, 배낭 등
- 장난감 피규어, 솜 인형, 공책(래핑된 새 상태 그대로), 완구·문구 몇 가지
- 안 쓰는 장스탠드 (분리해서 뽁뽁이 포장 후 보냈습니다.)
2.2 주의 사항
3. 기부 절차
기부는 직접 매장에 방문해서 기부하거나, 택배 기부 또는 방문 수거 신청이 가능합니다. 방문 수거의 경우 ― 50L 봉투 2개, 또는 가로+세로+높이 = 125cm 박스 기준으로 3박스 이상 모였을 때부터 가능합니다.
굿윌스토어 홈페이지에서 기증 신청서 작성하실 때, 방문 수거 신청 날짜를 선택하실 수 있고, 신청서 작성시 상세 물품 목록 및 수량도 함께 기입해야 하므로, 물건을 정리하실 때부터 미리 항목 별 수량 체크를 해두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.
저는 다행히(?) 3박스가 모여서, 방문 수거를 신청할 수 있었습니다. 수거 예정 날짜 하루 전에 매장에서 미리 전화를 주시더라고요. 전화로 다시 한번 수량을 체크하시는데, 기증 가능 품목인지 애매했던 것들, 궁금했던 부분들을 미리 여쭤볼 수 있었습니다.
저는 전화주셨을때, 택도 안 땐 새 양말이 몇 개 있는데, 기증이 가능할지 여쭤보았고. 한번도 쓴 적 없는 새 양말인 경우만 된다고 하셔서 같이 보냈습니다.
다만, 확인 전화 이후 수거 기사님이 배정되는데 까지는 시간이 좀 걸렸습니다. 수거 기사님이 몇 시쯤 오시는 건가... 불안해 하고 있었는데, 다행히 수거 예정 전날 저녁 때, 정확한 방문 시간 안내 문자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. 다음날 새벽에 오신다고 하셔서, 저녁 때 현관 문 밖에 박스를 내놓고 사진을 찍어 보내드렸습니다.
전반적인 절차만 짧게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:
- 굿윌스토어 홈페이지 ― 기부 신청 (직접 매장 방문 / 택배 / 방문 수거 신청 중 택1)
- 기부 물품 포장 및 기부자 성명, 물품 종류 별 수량 기입
- 기부 일정 및 수량 확인 전화 수신
- 수거 기사 배정 (방문 수거 신청 시) ― 기사님 방문 예정 시간 수신
- 현관 앞/ 집 앞에 포장 박스 배치 & 수거 기사님께 사진 보내기
3. 기부금 영수증은 언제, 어떻게 발급 되나
세액 공제가 가능한 기부금 영수증의 경우, 기부한 해 연말 또는 익년 초에 발급 된다고 합니다. 기부금은 소득 공제가 아니라 세액 공제이므로, 공제율은 15~30% 정도 됩니다. 물품을 보내고 기부금 정산 문자를 받기까지 저는 약 2주(?) 2주 반 정도 걸린 것 같습니다. 저의 경우, 이것 저것 3박스 보내서 약 8만원 정도의 물품을 기부한 것으로 정산 되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