라벨이 청년 우대형인 게시물 표시

청년이라면 꼭 챙겨야할 6가지 정부지원제도 (2025년 기준 정리)

갈수록 물가 오르는 속도와 정체된 채용 시장 등, 경기가 나빠진 것이 체감되고 있습니다. 집에서 쉬는 청년이 최근 3년 간 약 8만 명이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하던데. 지금으로서는 점점 더 늘어가는 비경제활동 청년 인구를 위한 정부 지원 제도가 절실한 것 같습니다. 최근에 조사해보니, 2025년 기준으로 새로 출시된 청년 지원 제도들이 생각보다 많이 있는 것 같아, 각 지원 제도별 신청 조건, 지원 금액, 신청서 위주로 간단하게 정리해 보았습니다. 01. 청년 월세 지원 (주거비형) 대상:  만 19세 ~ 39세 이하, 서울 거주 무주택 청년 중 소득 및 자산 기준 충족자 지원 내용:  월 최대 20만 원씩 최대 12개월간 월세 지원 특징:  당장의 월세 부담을 줄여줄 수 있지만, 보증금 마련에는 직접적인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. 지자체별 조건이 다르므로 확인이 필요합니다.  신청서 :  복지로  또는 각 지자체 청년 포털 (서울시 거주자는  https://youth.seoul.go.kr  확인)   02. 청년도약계좌 ― 장기 목돈 마련용 (최대 5천만 원) 대상:  만 34세 미만, 소득 6천 만원 이하 청년 지원 내용:  월 최대 70만원 납입 가능 + 정부 지원 월 최대 40만원 = 5년 납입 시 최대 5,000만 원 까지 저축 가능 특징:  기타 청년 자산 지원 제도와 중복 가입이 불가하기 때문에, 지원금 수령 조건(총 납입 필수 회차 등) 등을 잘 확인하여 신청해야 합니다. 장기 목돈 마련이 목표인 근로자 청년에게 추천합니다. 신청서 : 시중 은행 앱 또는 영업   03. 청년 내일 저축 계좌 ― 3년 적립 시 1,440만 원  대상:  만 39세 미만, 중위 소득 100% 이하 청년 지원 내용:  월 최대 10만원 납입 + 정부 월 30만원 적립 = 총 1,440만원 수령 가능 특징: ...